|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바
- network
- VIM
- BFS
- 프로그래머스
- 알고리즘
- CS
- Database
- Python
- 백준
- db
- Graph
- Algorithm
- Javascript
- Data Structure
- frontend
- TypeScript
- DFS
- DP
- Redux
- 안드로이드
- git
- react
- LeetCode
- vscode
- java
- 동적 계획법
- 리트코드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그레이들
- Today
- Total
목록Programming (174)
늘 겸손하게
자바스크립트 클래스의 매서드 작성법은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프로토타입 메서드', 두 번째는 '정적 메서드' 이다. class Person { constructor(name) { this.name = name; // name 프로퍼티는 public하다 } // 프로토타입 메서드 sayHi()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 정적 메서드 static sayHello() { console.log("Hello!"); } } // 인스턴스 생성 const me = new Person('Lee'); // 인스턴스의 프로퍼티 참조 console.log(me.name); // Lee // 프로토타입 메서드 호출 me.sayHi(); // Hi! My n..
함수 호이스팅 호이스팅이란 선언문이 코드 최상단에 끌어올려진 듯한 자바스크립트만의 현상을 의미한다. 함수 또한 호이스팅이 발생할 수 있는데 함수 선언문과, 함수 표현식 어떤 방식을 사용하여 함수를 선언했느냐에 따라 호이스팅이 발생할 수도,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차이점을 알아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함수 참조 console.dir(add); // f add(x, y) - 호이스팅 발생 console.dir(sub); // undefined // 함수 호출 console.log(add(2, 5)); // 7 - 호이스팅 발생 console.log(sub(2, 5)); // TypeError: sub is not a function // 함수 ..
문자열 메모리 사용량 문자열은 0개 이상의 문자(character)로 이뤄진 집합을 말하며, JS에서 1개의 문자는 2바이트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다. 따라서 문자열은 몇 개의 문자로 이뤄졌느냐에 따라 필요한 메모리 공간의 크기가 결정된다. 숫자 값은 1도, 100000도 동일한 8바이트가 필요하지만 문자열의 경우 1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은 2바이트, 10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은 20바이트가 필요하다. 문자열은 유사 배열 객체 문자열은 유사 배열 객체이면서 이터러블이므로 배열과 유사하게 각 문자에 접근할 수 있다. 유사 배열 객체 : array-like object 배열처럼 인덱스로 프로퍼티 값에 접근 가능하고, length 프로퍼티를 갖는 객체를 말함 1 2 3 4 let str = 'str..
bin() 대신 format() bin() 메소드로 자연수를 이진수로 변환하면 앞에 '0b'가 붙는 불편함이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format() 메소드를 사용합시다. format의 첫 번째 인자로 변환하려는 자연수를, 두 번째 인자로 바꾸고 싶은 진수의 첫문자를 넣으면 됩니다. 이진수로 변환하려면 'binary'의 첫 문자인 'b'를 넣으면 됩니다. 다른 진수로 변환도 가능합니다. 이진수 -> 'binary' -> 'b' 8진수 -> 'octal' -> 'o' 16진수 + 소문자 - > 'Hex' -> 'x' 16진수 + 대문자 -> 'Hex' -> 'X' 10진수 - > 'Decimal' ->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