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리트코드
- 동적 계획법
- Database
- TypeScript
- BFS
- DP
- vscode
- DFS
- git
- 프로그래머스
- Javascript
- 안드로이드
- Graph
- 그레이들
- db
- Data Structure
- java
- Redux
- frontend
- CS
- VIM
- 자바
- LeetCode
- react
- 알고리즘
- network
- 백준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Algorithm
- Python
- Today
- Total
목록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19)
늘 겸손하게

프로세스 주소 공간은 코드, 데이터, 힙, 스택으로 이루어져 있다. 코드 : 프로그램 소스 코드 저장 데이터 : 전역 변수 저장 힙 : 동적 데이터 저장 스택 : 함수, 지역 변수 저장 메모리 주소 위에서부터 스택(Stack), 힙(Heap), 데이터(BSS segment, Data segment), 코드 (code segment)로 나뉘어집니다. [ 스택 (Stack) ] 지역변수, 매개변수, 함수가 저장되고 컴파일 시에 크기가 결정되며 '동적'인 특징을 갖습니다. 스택 영역은 함수가 함수를 재귀적으로 호출하면서 동적으로 크기가 늘어날 수 있는데, 이때 힙과 스택의 메모리 영역이 겹치면 안 되기 때문에 힙과 스택 사이의 공간을 비워 놓습니다. [ 힙 (Heap) ] 데이터 동적 할당 시 사용되며 런타임..
[ 정의 ] Operating System의 약자로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컴퓨터 자원을 관리하며, 응용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로써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준다. 즉, 운영 체제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ex) Windows, Linux, Unix, MS-DOS [ 운영체제 역할 ] 1.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스레드 스케줄링 동기화 IPC 통신 2. 저장장치 관리 메모리 관리 가상 메모리 파일 시스템 3. 네트워킹 TCP/IP 기타 프로토콜 4. 사용자 관리 계정 관리 접근권한 관리 5. 디바이스 드라이버 순차접근 장치 임의접근 장치 네트워크 장치 [ 1. 프로세스 관리 ] 운영..

[ 프로세스(Process)란? ]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프로그램이란 하드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실행 코드를 말하고 프로그램이 메모리 영역을 할당받고 cpu에 의해 동작되면 프로세스라고 말합니다. 특징 프로세스는 각각 독립된 메모리 영역(Code, Data, Heap, Stack의 구조)를 할당받는다. 기본적으로 프로세스당 최소 1개의 스레드(메인스레드)를 가지고 있다 각 프로세스는 별도의 주소 공간에서 실행되며, 한 프로세스는 다른 프로세스의 변수나 자료구조에 접근할 수 없다 한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의 자원에 접근하려면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을 사용해야한다 [ 스레드 (Thread)란? ] 프로세스내에서 실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