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BFS
- 그레이들
- Graph
- TypeScript
- Algorithm
- 자바
- Database
- Redux
- Data Structure
- DFS
- Javascript
- 프로그래머스
- vscode
- git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CS
- frontend
- 리트코드
- VIM
- network
- db
- 동적 계획법
- react
- 알고리즘
- 안드로이드
- LeetCode
- Python
- 백준
- java
- DP
Archives
- Today
- Total
늘 겸손하게
Frontend - 크로스 브라우징 본문
크로스 브라우징이란 무엇일까?
크로스 브라우징 정의
표준 웹기술을 채용하여 다른 기종 혹은 플랫폼에 따라 달리 구현되는 기술을 비슷하게 만듦과 동시에 어느 한쪽에 최적화되어 치우치지 않도록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
모든 웹 브라우저 사용자가 방문했을 때 정보로서의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방법론적 가이드를 의미하는 것.
즉, 사용자가 어떠한 브라우저로 접속하여도 거의 유사한 웹 사이트를 볼 수 있도록 사이트를 개발하는 것을 Cross Browsing이라고 할 수 있다.
크로스 브라우징을 한글로 해석하면 "웹 페이지의 상호 호환성 구축"으로 이해할 수 있다.
100% 똑같이?
브라우저마다 OS가 다르고 글꼴이 다르며, HTML을 렌더링하는 엔진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웹 브라우저에서 100% 똑같이 보이게 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웹 사이트가 특정 브라우저에 치우치지 않도록 제작하여 모든 웹 서비스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
출처
http://www.mozilla.or.kr/docs/web-developer/standard/crossbrowsing.pdf
'Programming > Front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ntend - 반응형 웹 개발 (0) | 2023.08.07 |
---|---|
Frontend - 웹 사이트 성능 최적화 방법 (0) | 2022.08.09 |
Frontend - 쿠키, 세션, 웹 스토리지 (0) | 2022.08.09 |
Frontend -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이유 (0) | 2022.08.08 |
Frontend - 웹 표준 (Web Standards) (0) | 2022.08.05 |